카테고리 없음

[정리] 시간 낭비 없이, 좋아하는 일을 찾는 방법-이헌주 교수

85data 2022. 6. 7. 11:58
반응형

출처 : https://youtu.be/UG88-lJEVSQ

자주듣는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 최근에 읽은 책의 저자 이헌주 교수 영상. 좋은 내용이 많아 정리해봤다. 

 

어떻게 좋아하는 일을 찾는가? 좋아하는 일 찾기.
잘할 수 있는 것을 찾으라고 하는 데 그건 타인과 상대적으로 비교해서 찾는 일이다. 그래서 진로 결정할 때 그 질문보다는 좋아하는 것부터 찾는다. 특히나 어렸을 때 순수하게 좋아했던 것. 보상이 있었던 것은 아닌데 굉장히 신나고 좋아했던 것. 이때 좋아하는 일 그 대상 혹은 종목 이런 것이 아니라 그것을 할 때 느꼈던 어떤 순간들.  예) 농구를 좋아했다 가 아니로 농구에서 구체적인 어떤 순간들. To do : 좋아했던 순간 목록을 만든다. 그중에서  잘할 수도 있는 것을 찾아 놀이처럼 점진적으로 계발시켜보기.
-
불안함은 작은 성취로 극복하라.
작은 성취들을 쌓으면 도전 의식이 생긴다. 불안감을 뒤집으면 도전감이다. 자기효능감의 기능. 위기상황일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할 수 있는 것을 찾는 능력. 작은 성취 경험을 평소에 만들 수 있는 환경과 시도의 중요성.  즐겁고 신나고 작은 어떤 도전감을 통해 성취를 느끼면 불안한 환경에서 에너지가 될 수 있다. 

-

현대인에게 필요한 사색의 시간. 비우는 시간. 관조가 필요하다. 

나를 관조하는 시각이 필요하다. 성찰 능력을 키우기 위한 여백의 시간이 필요하다.  
한 발자국 물러 서기. 천천히 하며 나 자신 되돌아보기. 휴대폰 없은 산책 추천. 
나만의 공간 혹은 아지트가 좋을 수도 있다. 내 삶을 되돌아볼 수 있는 장소. 제일 좋은 것은 여행. 1박 2일. 
-

만약 사색 여행을 떠났을때 스스로에게 물어보면 좋을 질문들.

1. 어렸을 때 굉장히 자랑스러웠던 구체적인 순간은 무엇인가?
2. 어렸을 때 굉장히 빛났었던  순간은 무엇인가?
3. 밤에 잠 안자고 밤새도록 했었던 일은 무엇인가?
4. 이제 현재에 대한 질문. 나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질문이 무엇일까. 마치 자기를 깨우는 것. 10년 뒤 나를 현재 만난다면 
지금 나에게 어떤 조언을 하겠는가. 어떤 행동을 하겠는가.

 

이동귀 교수님 약력. 

-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미주리대학교컬럼비아교 대학원 상담심리학 박사
-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심리학과 교수
- 한국상담심리학회 부회장
- 연세대학교 인간행동연구소 소장
저서 《네 명의 완벽주의자》, 《나 좀 칭찬해줄래?》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