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상의 흔적 142

[정리] 뇌과학자가 말하는 새해 목표 완벽하게 이루는 법

본론 정리1. 한 가지 목표에 집중하라. 올해 이루고 싶은 목표 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고 중요한 것 하나를 설정하라.2. 지속적인 자기 반성과 피드백. 일기 쓰기. 하루 리뷰 하면서 목표에 다가서고 있는지 점검하고 보완.3. 자기인정 피드백. 뇌는 과정 속에서 보상을 원한다. 목표에 다가서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할 수 있는 긍정적 피드백 루프 만들기.  ㅡ나의 실행1. 올해 나의 한 가지 목표는 2. 디스코드에 하루 매매일지 쓰기. 어떤 근거 진입, 왜 익절 왜 손절 했는지 기록 남기고 피드백.  3. 주간 단위로 위 내용 온라인 공유하면서 외부 자각 효과. 스레드 활용?  ㅡ주요내용 새해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법은?다양한 자기 개발서에서 제시하는 방법들이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통하는 만능의 실행법..

[정리] 아웃풋 법칙 - 렘군 | 성공은 타인을 위한 생산자가 되는 것.

ㅡ 아웃풋 법칙이란? 렘군이 말하는 아웃풋이 정의는 타인이 필요한 것을 제공한다. 인풋은 나만을 위한 것. 아웃풋은 타인을 위해서 무언가를 하는 것. 집중할 것은 타인을 위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 예시) 20살 카페 아르바이트생이 아웃풋을 어떻게 하는가? 카페 사장의 고민을 발견한다 - 사장의 고민은 어떻게 손님들이 많이 오게 할 것인가 - 마케팅이 안되어있네? - 그럼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 친구 데려와서 카페 배경으로 100만 조회수 릴스 영상? 여기서 포인트는 단순히 도움을 주기 위해 기버(giver)의 포지션이 아니라 생산자(maker)의 관점에서 일을 기획하고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사장의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을뿐더러 도움을 주기 위해 학습하는 과정으로 역량을 성장한다. ..

[정리] 준오헤어 강윤선 대표 인터뷰 | 자청

ㅡ 고객이 그만해라고 외칠 정도의 배려와 서비스는 고객을 감동하게 만든다. ㅡ 준오헤어의 차별점 잘하는 사람 스카웃 해오는 방식이 아니라 자신이 인턴부터 키워서 올려놓는 방식. 입사 초 인턴일 때부터 너는 미래의 리더더라는 인식을 주었다. 관련된 교육도 하고 체계적으로 과정들을 만들었다. 준오아카데미. 리더가 되는데는 기술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자신이 청소를 왜 하는지와 같은 이야기. 가장 기본적인 것. 청소도 경영의 일부다. ㅡ 사람도 중요하지만 모든 것을 시스템화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경영의 중요성. 경영관련된 공부도 스스로 했고 그걸 가장 잘 아는 사람들에게 직접 찾아가서 자문을 구하고 배웠다. ㅡ 일을 시킬때 그 분야의 최고를 찾아서 한다. 그 과정에서 배운다. 전문가들은 그들만의 인사이트들이 ..

[정리] 이시형 박사의 건강에 대한 조언과 아침 루틴

ㅡ 건강에 관하여 지중해식단. 음식도 기분 좋게 먹어야 한다. 파세이아타. 식후 걷기 좋다. 인공화합물은 좋지 않다. 농산품에 농약과 비료가 많이 첨가된다. 그거 먹으면 면역이 떨어진다. 장과 뇌는 밀접한 관계. 장뇌 상관. 소화가 안되면 기분이 나쁜 것. 기분이 나쁘면 소화기 안되듯.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필수적으로 가벼운 운동을 해야 한다. ㅡ 명상의 중요성 이타적이고 욕심이 없게 된다. 마음이 편해지게 된다. 마인드풀니스 명상. 오직 현재에 집중하는 것. 주기적으로 명상을 하라. 호흡도 깊고 길게 내뱉는 습관을 가져라. ㅡ 현대인들은 왜 항상 피로한가? 창의적인 일을 해야하는 사람들은 늘 피로감을 가지고 있다. 뇌는 쉬지 않는다. 뇌를 쉬게 만들어줘야 피로가 풀리며 좋은 아이디어들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