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정리] 남이 되지 않는 부부 싸움의 기술-김지윤 소장

85data 2022. 8. 5. 10:38
반응형

 

싸움에 필요한 요소 : 집중력, 공감능력, 인지능력, 소통 능력, 훌륭한 인격

부부싸움의 기술 1. 먹고 자고, 싸워라
부부싸움의 기술2. 싸움의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기
부부싸움의 기술3. 초두효과(첫인상 효과)를 활용하라
부부싸움의 기술4. 싸우다가 나가지 않기
부부싸움의 기술5. 마지막 1•C(도)를 건드리지 않기

-

환상을 깨어가며 나가는 결혼 생활. 착각을 빨리 깰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진다. 

결혼에 대한 착각 1. 결혼을 하면 사랑은 저절로 유지된다.

사랑은 저절로 해체된다. 로맨스로 시작되나 평균적으로 사랑의 유효기간은 3년. 그 이후는 더 큰 신뢰 관계를 만들어야 한다. 

결혼에 대한 착각 2. 배우자는 나의 부족한 면을 채워준다.

반대이다. 서로의 부족한 면을 드러내주는 관계이다. 

결혼에 대한 착각 3. 결혼 후에는 외롭지 않다

인생 자체가 외로움의 연속이다. 결혼도 인생의 한 부분 희로애락이 존재한다. 외로움은 스스로 관리해야 하는 속성이지 관계로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결혼에 대한 착각 4. 갈등은 줄어들 것이다.

3년차부터 사소한 갈등이 촉발된다. 세월이 흐르른다고 갈등이 없어지지는 않는다. 

결혼 10년 차쯤부터 상대방의 성향을 이해하게 된다. 

 

부부의 세계는 서로 다른 짐승 둘이 공존하는 것? 훈련이 필요하다.

김지윤 소장이 신데렐라 같은 동화를 싫어하는 이유. 결혼은 현실. 동화 내용 끝에 덧붙여야 하는 아래 내용. 싸우고 화해하고 싸우고 화해하고 노력한 만큼 행복해졌습니다.

 

현실판 동화의 결말.

 


우리나라 사람의 기본적인 성향. 부정적인 감정이나 서운함을 표현하는 일에 서툴다. 한국인들이 화병이 많다. 대부분 회피하거나 삭힌다. 대부분 이를 다른 대체 언어로 표출한다.

 

잘못 배운 대체 언어 1 침묵.

잘못 배운 대체 언어 2 이중 메시지의 언어

 삐친 것도 표함. 본인의 마음이 상한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다른 것으로 돌려 말하는 경우. 소통이 힘들어진다. 

잘못 배운 대체 언어 3 부정적인 소통의 실종

회피하는 말. 단절된 소통을 사이가 좋은 것으로 오해한다. 싸우는 것이 나쁜 것이 아니다. 훌륭한 소통도구이다.

회피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싸우는 것이 낫다. 싸움도 소통의 일환이다. 부부관계에서 회피는 더 큰 싸움을 일으킨다. 


본론. 남이 되지 않는 부부싸움의 기술.

 

부부싸움의 기술 1 먹고, 자고 싸워라.

싸울 때 많이 사용하는 뇌의 영역, 전두엽. 전두엽의 역할. 이성적인 사고를 하고 감정조절과 공감능력을 수행하게 하는 뇌의 영역이다. 즉 할 말 안 하고 상황 파악하게 하는 것. 배고프거나 피곤할 때는 전두엽의 기능이 떨어진다. 피곤하면 무의식 중에 헛소리 하지 않는가. 

 

부부 사이에 애착이 손상되면 회복하기 힘들다. 대책 손상은 보통 말이나 행동을 통해 많이 일어난다. 대부분 생각 없이 내뱉은 말이 상대방에게 큰 상처로 남은 경우가 있다. 부부싸움은 소박하게 일일드라마처럼 싸워라. 한 번에 다 터트리는 것이 아니라 분할하라. 못다 한 싸움은 다음 기회에

 

부부싸움의 기술 2 싸움의 주제에서 벗어나지 마라.

보통 싸움의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야 하는데 감정이 앞서다 보니 다른 것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있다.

"너 말투가 왜 그래?" 말투 이야기는 나중에 하고 지금 이것에 대해 이야기를 하자. 싸움의 주제를 다시 끌어오는 게 중요하다. 

 

부부싸움의 기술 3 초두효과(첫인상 효과)를 활용하라.

 

 

첫인상처럼 대화에서 첫 단어와 뉘앙스가 뒤에 따라오는 대화의 기류를 결정짓는다. 첫마디에 주의. 첫말을 변화시켜라. 

상대 호칭의 중요성. 부부싸움을 하는 예) 평소에 소 와이프를 '이쁜아'라고 부른다. 싸우고 있지 마 안정감. 

내용이 무섭더라도 앞 단어를 애정이 깃든 단어로 부르기. ex) 사랑하는 애정이 아빠 나가

* 싸울 때도 애칭을 부르면 다음 말은 저절로 순화가 된다. 

 

부부싸움의 기술 4 싸우다가 나가지 않기

뇌에서 분노가 타오르는 시간은 12분. 주체할 수 없는 분노는 소강이 필요하다. 

아무리 화나도 안 나가는 것이 좋으나 나 거더라도 일방적으로 나가지 않기. 나가야 한다면 출처 밝히기. 

"이놈의 집구석 " 하며 튀어 나가는 것이 아니라 "나갔다 올게"라고 이야기하고 오는 게 낫다. 중요한 것 아무리 화나도 연락은 피하지 않기.

 

부부싸움의 기술 5 마지막 1도를 건드리지 않기

부부는 서로의 치명타를 알고 있다. 상처는 반드시 되돌아온다.

 


Q. 아이들에게 싸우는 장면을 보여줘도 괜찮은가?

싸움은 예고될 수 없기 때문에 초기 싸움은 아이들에게 노출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노출 후 자녀와 공간 분리는 필수적으로 해줘야 한다. 중요한 것은 부부 싸움 뒤에 자녀에게 이야기를 해줘야 한다. 

 

1. 왜 싸웠는지 반드시 설명해야 한다. 

부부싸움이 아이에게는 큰 공포. 다 알고 있다. 자주 싸우는 집에서 자란 아이 중 보통 가장 착한 아이가 몸이 약하다. 그런 불안을 대게 몸으로 흡수한다. 스트레스가 아이를 아프게 한다. 심리적인 압박이 힘들게 한다.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 유발될 때는 우리에게 지금 안 좋은 일이 있어. 갈등이 있어 누구나 다 느끼는데 아무도 그것에 대해 말해주지 않을 때 고조된다. 갈등에 대해 말해줄 때 긴장이 이완된다. 아이에게 트라우마 생성의 여부는 불안 경험 이후 그 불안에 대한 후속으로 누군가에게 진정효과를 경험했는가 아닌가에 따라 다르다. 

 

 2. 화해하는 모습을 반드시 보여줘야 한다. 

부부끼리 싸우고 화해하고 그런 현상이 일어나면 아이들은 부모에 대한 불신이 생긴다. 부부싸움 후 아이 앞에서 화해의 행동을 보여줘야 한다. 악수, 포옹과 같은 행동을 보여주라. 

 

3. 자녀에게 하소연하지 말라. 

우리나라 특징 장녀들에게 다 하소연한다. 딸을 내 분신으로 생각하는 잘못된 가치관. 성장기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듣다보면 아빠인 이런 말들은 성장기 자녀에게 노출되어서는 안된다.

평소 아이에게 아빠 욕을 함부로 하면 안 된다. 가족에게 감정을 쏟아내는 것을 절대 해서는 안 될 일. 다른 사회적인 관계를 사용해서 이야기하라. 


부부 관계는 메아리 같은 관계이다. 세 번의 반복은 곧 다시 내게 돌아온다. 긍정의 공을 던지면 세 번째 공은 받는 법. 수많은 싸움이 필요하지만 부부라면 할 수 있는 일. 위에서 배운 것들 잘 실행해보기.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l4Xxh6OjC4s 

-

MBN 유튜브에 좋은 강의 영상이 많다.

https://www.youtube.com/c/MBN_Entertainment/search?query=%EB%AA%85%EA%B0%95%EC%97%B0%20%EC%BB%AC%EB%A0%89%EC%85%98 

 

MBN Entertainment

시청자와 함께하는 '열린 세상, 열린 방송' 유튜브 MBN 공식 예능&교양 채널, 'MBN Entetainment'입니다:) 구독자의 의견을 함께 나눠 더 신선하고 재미있는 MBN Entertainment가 되겠습니다♥ Welcome to ‘MBN E

www.youtub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