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자유 프로젝트/경제시황

[정리] 트럼프 대통령과 금 가격의 상관관계

85data 2025. 4. 22. 09:39
반응형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금 가격 차트

 

근래들어 치솟는 금 가격을 보면서 이전에 저장해둔 그림이 생각났다. 아래는 역대 대통령과 금의 가격 비교이다.

아무래도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일수록 금 가격이 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대로 증시가 안정될 수록 금가격은 하락 한다.

이 그림을 기억 해두고 트럼프 취임하자마자 금을 매수했었으면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이 요즘 든다. 반대로 임기말 즈음 증시가 안정되면 금 가격 숏을 생각해볼수도 있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금 가격의 상관관계


1. 정치적 불확실성과 금 가격 상승
2025년 4월 21일,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제롬 파월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커졌습니다. 이에 따라 금 가격은 온스당 $3,430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이러한 정치적 불확실성은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금으로 몰리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2. 무역 전쟁과 '트럼플레이션'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고율 관세 정책은 '트럼플레이션(Trumpflation)'으로 불리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낳았습니다. 이로 인해 금 가격은 2025년 들어 약 30% 상승했습니다 .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금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3. 연준 독립성 침해 우려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의 독립성을 위협하는 발언을 하면서 시장의 불안감이 증폭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금 가격은 온스당 $3,403.90로 급등했습니다. 정책의 예측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입니다.​

4. 달러 약세와 금 가격 상승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으로 인해 미국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금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 금의 상대적 가치가 높아져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됩니다 .​

요약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발언은 시장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금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치적 불안, 무역 전쟁, 연준 독립성 침해 우려,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금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적 자유 프로젝트 > 경제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미국 대선 이후 나스닥과 비트코인의 방향  (0) 2024.07.13
[시황] 24-01-30  (0) 2024.01.30
[시황] 24-01-19  (0) 2024.01.19
[시황] 24-01-18  (0) 2024.01.18
[시황] 24-01-16  (0) 202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