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급자의 태도
역지 사지, 들어주려고 하는 것. 칭찬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천재다 너 천재. 어느 순간 천재적이게 된다. 천재는 지속적 현상이 아니라 순간적인 현상이라 생각한다. 그들을 믿고 칭찬을 해주는 것.
/
책을 읽는 즐거움
권장도서 100권 무시하라. 바깥으로 들어오는 권위가 아니라 나. 내가 무엇을 읽고 싶은가.
책의 목적
내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것. 그 전에는 보이지 않던 것이 그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
TBWA 채용문제
시험 문제를 내는 이유? 어떻게 살아왔는가. 책에 가깝게 살아왔니 음악과 영화. 문화적 배경을 묻고 싶은 것이다. 광고 이론은 중요하지 않는다. 금방 배운다. 너는 어떤 사람을 만나고 어떤데 관심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왔는가. 여러분야에 호기심을 갖는 사람이 창의적인 발상을 가지는데 도움이 된다.
카피라이터는 1:1로 면접을 다한다.
카페에서 차를 마시며 한시간 동안 이야기 한다.
/
광고?
우리가 사는 현상중 하나.
좋은 광고란 무엇인가?
문제를 해결하는 광고.
잘 들어주는 사람, 선구안이 있는 사람 = 좋은 광고주
/
발표 잘하는 비결?
내 얘기를 하는 것이다. 떨리는 이유- 잘하려고 해서 떨린다. 잘하려 하지 말고 내가 준비된 이야기만 전달하면 되는 것이다. 발표할 게 없는 것이 문제이다.
/
이 것 만큼은 변하지 않았으면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인간의 기본. 생로병사. 가족. 임종 직전에 내 옆에 있을 사람이 누군지 생각해보면 그 사람한테 더 잘해야 한다 생각해요. 항상 곁을 지키는 가족 그것만은 변하지 않았으면
/
부모와 자식
부모들이 사랑이라는 단어를 아이들을 너무 사랑해서 쓰는데 부정적으로 사랑하는 것 같다. 부모와 자식은 개별의 존재다. 서로 다른 유기체로 존중해주어야 한다.
/
인문학
수단이기보다는 즐거움이다.
/
아이와 함께 공부
세계사 국사 교과서를 어릴 때 같이.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는 과목. 앞 뒤 문맥을 알아야 한다. 아이와 함께 두 시간동안 교과서 두 페이지씩 읽기. 문제 푸는 것은 점검차원.
'감상의 흔적 > 인터뷰와 강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연] 피터틸 -Zero to one @KBS 오늘 미래를 만나다 (0) | 2016.01.14 |
---|---|
[강연] 최인철-행복에 대해 @플라톤 아카데미 (0) | 2016.01.14 |
[강연] 구본형-자신을 전문가로 키워나가는 5가지 원칙 (0) | 2015.11.05 |
[강연] 김미경-꿈을 이루는 법칙@2014 2nd Asia Manafest (0) | 2015.11.05 |
[강연] 박웅현-광고에 대해서 (0) | 2015.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