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가진 생각의 오류들
- 통계수치보다 이야기를 더 좋아한다.
(유희를 추구하는 특성 때문에 객관적인 통계자료보다 일화적인 경험담에 의지하는 오류)
: 우리는 태생적으로 이야기에 끌리고, 통계자료를 멀리하는 성향이 있다.
이로인해 믿음을 형성하고 판단을 내릴 때 일화적인 정보를 지나치게 중시한다.
- 확신을 구한다.
(존재의 불확실성이 낳은 믿음의 열망과 우연의 일치를 과대평가하는 성향 때문에 실재하지도 않는 것을 믿어버리는 오류)
: 우리가 갖고 있던 믿음과 기대를 확인시켜주는 정보만 중시하고, 이것들과 상충되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편리하게 재해석한다.
- 삶에서 운과 우연의 일치가 하는 역할을 이해하지 못한다.
(원인을 설명할 수 있어야만 직성이 풀리는 성향으로 인해 상관성이 없는 것들까지 연결지어 생각하는 오류,
불안에서 벗어나기 위해 예측할 수 없는 것들까지 어리석게 예측하는 오류)
: 원인을 찾는 성향이 너무 강해지면, 연관성이 전혀 없는 곳에서 연관성을 보고
아무 이유 없이 단순한 우연의 일치로 일어난 일들에서도 원인을 발견하려고 한다.
- 세계를 잘못 인식할 수 있다.
: 세계를 잘못 인식함으로 써 우리는 일화적인 자료에 의지해서 터무니 없는 주장을 믿게 된다.
- 지나치게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다.
(복잡한 세상 조금이라도 가볍게 살고 싶은 생존본능으로 인해 자기 생각에 들어맞는 정보만 취하고 하나의 예를 일반적인 경우로 단순화시키는 오류)
: 우리는 아주 복잡한 삶을 살고 있음으로 인해 끊임없이 단순화하려고 한다.
이로 인해 신뢰할 수 없는 정보에는 지나치게 의존하면서, 믿을 만한 정보는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
- 기억은 틀릴수도 있다.
(내면의 어두운 그림자에 대한 두려움과 도피심리로 인해 기억을 재창조하고 맹신하는 오류 )
: 기억 속에 저장해 둔 것을 정확하게 되살릴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의 기억은 완전히 틀릴 수 있다.
최상의 믿음을 형성하는 법
1) 주장을 분명하게 적는다.
2) 이 주장을 뒷받침해 주는 증거를 고찰한다.
3) 다른 가정들을 살펴본다
4) 가정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우리를 잘못된 믿음으로 인도하는 편향적인 인식
1) 이 믿음이 진실이기를 바라는가?
2) 이 사건이 일어나리라고 예상하고 있었는가?
3) 이런 바람과 기대가 없었다면, 이 일을 다르게 인식할까?
우리의 인식작용은 외부의 실제를 1:1로 대응시키는 과정이 아니다.
그보다 오감으로 감지한 것과 우리의 기대, 우리가 보고 싶은 것에 이해 결정되는 구축적 과정일 뿐이다.
이로 인해 우리는 대로 생생한 환각을 경험하고, 둘 이상의 사람들이 똑같은 것을 경험할 때는 집단적 환각에 사로잡히기도 한다
그리고 이런 집단 환각은 집단히스테리를 불러일으킬 정도로 아주 강력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억은 지울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의 기억은 사건을 있는 그대로 복사하거나 포착해 내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실재를 빈번하게 왜곡시켜서 단편적으로 되살려 내는 것이다.
그런데도 불행히 우리는 증인의 귀인오류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우리는 왜 실제적인 근거도 없는 예측들을 믿는 것일까?
우리가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고 믿는 이유는 그렇게 믿고 싶기 때문이다.
우리가 불확실성을 혐오한다. 반면에 스스로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지고 싶어 한다.
그리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생각은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더욱 강화시켜준다.
또 다른 이유는 권위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쉽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우리는 각자의 분야에서 다년간 훈련을 거쳤다는 이유로 전문가의 지위를 부여한다.
이들이 훈련을 아무리 많이 받았어도, 본질적으로 예측이 불가능한 것들이 있다.
'감상의 흔적 > 인터뷰와 강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D] Dan Ariely: What makes us feel good about our work? (0) | 2016.03.05 |
---|---|
[인터뷰] 이어령-20대에게 하는 충고 @피플인사이드 (0) | 2016.03.05 |
[강연] 김미경 @2시 40분, 청춘을 만나는 시간 (0) | 2016.03.05 |
[TED] 마시멜로 게임을 통해 배우는 팀빌딩 (0) | 2016.03.05 |
[TED] 30일 동안 새로운 것을 시도하기 (0) | 2016.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