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의 흔적/다큐멘터리

[다큐] EBS 다큐 프라임.150720.결혼의 진화 1-3부

85data 2015. 8. 2. 13:01
반응형
Tistory 태그: ,,

EBS 다큐 프라임.150720.결혼의 진화 1부 인류, 결혼하다.
EBS 다큐 프라임.150721.결혼의 진화 2부 결혼, 하셨습니까?
EBS 다큐 프라임.150722.결혼의 진화 3부 새로운 가족이 온다.

 

image

 

밤은 조상을 잘 섬기라는 의미. 대추는 자손을 많이 낳으라는 의미

 

image

현대의 결혼식에도 약탈혼의 잔재간 남아있다. 결혼식 때 신부가 쓰는 면사포. 북 유럽 게르만족이 신부를 약탈할 때 뒤집어 씌우던 어망에서 유례된 것이라고 한다. 결혼반지도 신부를 약탈할 때 채워둔 족쇄가 결혼반지의 원형이라고 한다.

 

image

 

image

제주에서는 특별하게 결혼식 전날. 가문잔치를 연다.

 

image

 

-

오늘날 결혼에 대한 현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신혼여행까지 포함하면 결혼하는데 평균 2억원. 일반적으로 남자는 1억원에서 1억 5천. 여자는 5-6천만원.

 

image

 

 

image

 

image

 

_중국의 경우

 

image

 

image

image

 

결혼에 드는 비용과 상관관계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작은 결혼식과 맞춤 결혼식

image

 

image

3시간 동안 이어진 결혼식. 여유와 웃음.

 

image

축의금 대신 결혼식에 오는 손님들에게 손 편지를 받았다.

 

image

 

image

 

image

부산의 어느 신부 경우. 대여관을 작은 공연장을 빌림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3부

image

image

프랑스는 동거가 법적인 동거 계약이 있다.

image

 

image

 

image

image

법적인 절차 없이 헤어질 수 있고 위자료나 양육비등 결별에 따른 비용부담이 없다.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우리나라 진선미 의원의 경우. 혼인하지 않은 상태에 같이 살고 있다.

 

image

 

image

 

image

 

_미국의 경우

 

image

 

image

image

 

다운세대. 앞으로 이혼율은 증가에 따른 재혼.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폴리아모리의 본질. 개인의 다양한 관심사를 충족해줄 여려명의 파트너와 교감하는 것.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image

 

/

1부에서는 결혼에 대한 역사들을 우리나라에서부터 출발하여 다른 나라들을 살펴보았다. 과거의 전통 혼례식이 현대식으로 오기까지 그 변화과정들을 보며 무엇이 본질적인 가치인지에 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2부는 현재의 현황. 결혼의 현실적인 현재를 조명하여 어떤 결혼이 올바른가에 대한 질문을 주었다.

3부는 결혼의 본질과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3부를 말하기 위해 기존의 1-2부 전초를 깔아놓은 느낌이다. 매세지는 결혼의 진정한 가치는 배우자간의 사랑이다. 그 사랑의 결실이라 표현된 결혼의 제도에 변화가 왔다. 앞으로 다양한 모습으로 결혼의 대안이 나나탈 것이다. 그 변화의 과정안에서도 본질은 배우자의 사랑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