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의 흔적/다큐멘터리

[다큐] 명견만리.E08.150618.700만 베이비부머, 기로(岐路)에 서다

85data 2015. 8. 25. 17:20
반응형

명견만리.E08.150618.700만 베이비부머, 기로(岐路)에 서다


image

1955-1963년 : 베이비붐 세대. 전쟁이 끝난 이후 폭발적인 인구 증가.

2015년부터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를 시작한다.  2020년까지 거대 인구 집단의 사회적 퇴장.


image


image


현재 우리 나라 경제 활동인구 다섯명 중 한명이 베이비붐 세대.  은퇴폭탄.

부모 부양과 자녀 양육으로 은퇴 준비를 놓친 세대. 당장 쓸 돈이 부족한 베이비붐 세대. 돈이 없다는 것은 가난하다는 것이 아니다.



image


총 자산 중 대부분이 부동산이다. “아파트 한 채만 남았다”


image


image


image


일본의 경우.

image


버블을 통해 반면교사. 대부분 현금


image


투자나 주식도 하지 않는다.


image


부동산을 투자 목적으로 하지 않는 단카이 세대. 오히려 여유가 있었다. 거품 경제 이후 부동산에 대한 기대를 버리고 노후를 위해 현금과 연금으로 은퇴를 준비했다. 비교적 넉넉한 연금으로 은퇴를 맞이했다.


image


우리나라의 경우 부동산에만 집중해 왔다. 기형적인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구조


image


image


image


젊은 세대 역시 아파트로 인한 가계 상속 부채는 필연적이다.


image


부모세대는 집을 줄이고 주택연금을 통해서 자녀세대에게 빚을 주어서는 안된다.


image


일을 할 수 있을 때까지 한다. 은행 지점장을 하시던 분이 기술을 배워 보일러공을 하시는 예. 은퇴 이후 기술을 배워 일을 한다.


image


image


무역상사에서 일하시던 분. 가지고 있던 기술을 활용해 국제택시기사 일을 하신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