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의 흔적/인터뷰와 강연

[정리] 은근히 호감을 심어주는 6가지 심리기술

85data 2022. 5. 27. 08:20
반응형

놀면서 배우는 심리학-은근히 호감을 심어주는 6가지 심리기술

먼저 중요한 것. 호감과 호의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호감 신호의 사례

에펠탑 효과

미러링 효과

공감과 이해도

에펠탑 효과란

처음 흉물처럼 느꼈던 파리 에펠탑. 사람들이 자주 보니 정감이 가게 되어 명물이 되었다. 이 같이 사람도 자주보다보면 싫었던 것도 호감 또는 호의가 생기는 원리. 직장 사내 연애가 많은 이유. 자주 보게 되며 같은 일을 하고 있는 유대관계. 즉 내가 관심있는 이에게 어필을 하려면 일단 자주 얼굴을 비춰 만나야 한다. 

미러링 효과
상대방의 모습을 거울처럼 따라하는 것. 같은 자세. 무의식적으로 호감도 상승. 예) 카페에 앉아 있는 자세를 상대와 유사하게. 

호감도라는 것은 하나의 장 보다는 전체적인 모습. 단시간이 아닌 장시간의 모습들을 통합적으로 노출 시켜야 한다. 일관된 모습의 중요성.

 

잘 드러난 호감 신호

1. 스킨십의 정도

2. 상대방과의 물리적인 거리

3. 공감과 경청. 

스킨십. 가벼운 터치부터 더 진행되는 것을 보며 확인. 손 잡기에서 어깨 터치.  

거리. 물리적인 거리와 심리적인 거리. 

호감이 있으면 있을 수록 물리적인 거리를 더 가까이 하고 싶고 대화를 하려는 거리가 가까워진다. 가까우면 가까울 수록 호감도가 높아진다. 전제는 불편감이 없어야 한다. 


공감과 경청
공감의 의미? 나는 이 사람이 될 수 없지만 그 사람인 것처럼 마음을 이해한다.
상대방 이야기를 잘 경청하고 공감한다는 것은 일종의 호감 신호로 볼 수 있다. 

 

초두효과 이후 호감도 상승을 위한 것? 대화. 

상대방의 마음을 어루만져 줄 수 있는 대화. 이야기를 잘 공감 경청하고 리액션 필요. 여러번 쌓이다 보면 자신의 속마음을 공유하며 호감도가 상승한다.

많은 이들이 생각과 감정을 혼용해서 말한다. "오늘 여기 오는 길에 어떤 느낌이 들었어?" "-어 별 생각 없이 왔어"

감정을 물은 질문에 생각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때 감정적 터치. 생각을 말했더라도 감정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게 유도한다. 감정적인 대화를 할 수 있게 한다. 기쁜 일이든 힘들인이든사실 뿐만 아니라 정서가 교류되면 호감도가 상승한다. 

상대의 호감을 올리는 도파민. 무언가 짜릿한 순간에 긍정적인 활동을 통해 함게 느낄 수 있다면 좋다. 같이 도파민을 높일 수 있는 활동들을 하면 친밀도가 올라간다. 예) 놀이공원. 조금 액티비티 한 활동들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