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의 흔적/인터뷰와 강연

[인터뷰] 마크 저커버그-급변하는 세상에서의 가장 큰 리스크

85data 2022. 5. 31. 09:18
반응형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MQmoLCyMYto

와이컴비네이터에서 진행하는 <How to build the future> 1편. 초기 창업자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좋은 내용들이 많다. 마침 한국 번역본도 있어서 정리해봤다.

 

초기 과정을 생각하며 후배 창업자에게 주고 싶은 조언. 
창업자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시작해야지, 단지 회사를 만들기 위해서 창업을 하면 안된다. 회사를 만들어 가는 과정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이를 지탱하는 힘은 당신이 하는 일이 사람들에게 정말 가치있는 일이라는 믿음을 스스로 갖는 것이다.

초기 기업의 성장을 위한 조언
특별한 마술은 없다. 홍보를 하고 광고를 살 수 있지만 결국 제품이 좋아야 한다. 그리고 고객들이 고객을 끌고 들어와야 한다.

당신이 19살에 창업했듯,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현재의 19살에게 조언을 준다면
기업가가 해야하는 중요한 일은 하고자 하는 일이 있다면 일단 해 봐라. 그것이 제대로 돌아가면 그 때 회사를 만들어라. 회사를 하기 위해서 회사를 만들지 말아야 한다. 

주요매세지

 

회사를 만들려고 한 것이 아니라 좋은 제품을 만들려고 했다.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찾아 만들었다.

-
좋은 회사는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려는 동기에서 비롯된다. 그 대상이 어느 한 지역, 어느 한 장소일지라도

자기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도 모른 채 그저 창업만 하겠다고 결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
최대한 빨리 배우는 것에 집중하는 회사를 형성하는 것. 회사는 학습하는 유기체. 학습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빨리 움직이는 것과 장기적으로 앞서 나가는 것.

-
무엇인가를 잘 돌아가게 만든 다음엔 데이터를 활용하고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경청하고 그들의 사용패턴 정보를 수집한 뒤 어떤 문제를 풀어야 할지를 결정한 후 직관을 통해 해당 문제의 해결방안을 고안해낸 후 실험을 통해 그 가설을 검증하고 추가적인 데이터와 피드백을 확보하면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 지를 알 수 있게 된다.
-
중요한 것은 '어떤 일을 잘하기 위해선 그 일을 기존에 해본 적이 있어야 한다' 라는 고정관념을 버리는 것이다.
-
기업가가 해야할 가장 중요한 일은 자신이 중요하게 여기는 문제를 고른 후 해결하는 것이지만 그 해결책이 통하기 전까진 섣불리 법인화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
급변하는 세상에서 가장 큰 리스크는 어떠한 리스크도 감수하지 않는 것이다.
in a world that's changing so quikly, the biggest risk you can take is not taking any risk

-
장기적으로 가장 큰 리스크는 어떤 리스크도 감수하지 않는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