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상의 흔적/교양프로그램 38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5.151025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5.151025 나에 대하여 돈이 없어서는 살 수 없지만 돈만으로는 살 수 없다. 나.너를 열고 나가면 나. 나를 열고 나가면 너 서로 다른 내가 모이면 우리가 된다. 우리 안에 나를 간과하고 있지는 않는가. 모두를 이해하는 것은 각자의 나를 이해해야 가능한 일이다. 서천석 아이에게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묻지 말고 어떻게 살고 싶은지 물어보라. 무엇을 할지는 알기 어렵다. 미래 사회의 직업은 게속 변한다. 있는 직업이 사라질 가능성도 많지 않는가. 다만 꼭 생각해야 할 문제는 어떻게 살아야할지에 대한 것이다. 그 생각이 자라서 조금 더 성숙한 어른이 되지 않는가. 강연에서 잘 먹히는 주제. 자존감 이야기. 왜냐하면 자존감에 문제가 있다하면 자존감 높은 사람이 없다. 다 자기..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3.151011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3.151011 혼자살기에는 15평이 적당하다. 최진기 일본의 정원문화는 자연을 복사한다. ‘조경’ 우리는 그런 식의 바깥의 경치와 연장선상이다. ‘차경’ 빌렸다 돌려주는 문화. 여백의 문화. 차경의 문화와 일맥상통. 이불 갯다 접어줄게. 통일 예상 비용 45년간 4천 6백조원. 얻들 수 있는 이익. 45년간 1경 4400조원.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2.151004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2.151004 처음 나이가 들수록 아는 길들 중에 처음의 길을 선택하지 않으려고 한다. 처음이라는 것은 강인한 학습 효과를 통해 성숙하는 과정. 전업주부 최진기 전업주부의 하루 노동시간 6시간 8분. 직장인 하루 노동시간 8시간 53분. 출 퇴근 시간 1시간 38분. 맞벌이 주부의 하루일과를 생각해보면 1시간 38분 출근해서 8시간 53분 일하고 하고 돌아와서 6시간 8분 가사일의 해야 한다. 감당할 수가 없다. 우리나라의 가사 부담 비율이 5:5가 10%가 안된다. 맞벌이 일을 한다는 것은 보통의 일이 아니다. 송길영 가사노동 이슈는 분업의 이야기로 고민해야 한다. 예전에는 남자가 근육이 있으니 생산에 유리했다. 농업이나 공업의 경우 남자가 유리한 입장이었기 때문에 부..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0.150920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0.150920 나이가 들면 들 수록 빨리 흐른다는 느낌? 새로운 사건을 못 만나서 그런다. 새로운 경험의 수가 준다. 시간을 기억 하기보다는 사건을 기억한다. 시간이라는 개념이 알고보면 사건의 개념이다. 새로운 자극이 많아 시간의 흐름도 더디게 느껴진다 어릴 때. 시간의 정복은 시간안에 얼마나 많은 사건을 만들어가는가 하는 것이다.

[JTBC] 김제동의 톡투유.E15.150816

[JTBC] 김제동의 톡투유.E15.150816. 의도적으로 상대 의도를 꺾을 줄 알아야 한다. 거절할 자유가 나에게 있다. 내 의지를 남에게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의지를 보이는 일. 상대의 호의는 요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보여주면 고마운 것이지. 왜 열정페이가 생겨나는가? 숙련 vs 비숙련, 벌어진 임금 격차. 모두 숙련자가 되고 싶어하는 꿈이 있다. 상-하는 아래위의 관계가 아니다. 관리적인 절차일 뿐이다. 유교문화가 결합되어서 만들어진 병폐가 아닌가. 상사는 윗사람이 아니다. 내가 말을 놓을 수 있는 존재일 경우. 특히나 내 나보다 아랫 사람일 수록 더 조심스러웠으면.

[JTBC] 김제동의 톡투유 E12 "실수"

김제동 톡투유 E12 120719 / 경상도 사투리는 못 고친다. 단어가 사투리가 아니라 억양이 사투리이다. / 문사철시서화 / 실수와 실패의 차이 실수는 판단을 잘못하거나 경험이 부족하거나 부주의 해서 하게 되는 잘못 그래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면 실패라고 한다. 실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잘못. 인간은 실수를 통해 성숙해지는 존재. 실수를 줄이는 많이 줄이는 방법은 많은 실수를 통해 교훈을 얻는 것. / 인간의 실수 인간이 실수를 반복하는 이유는 자기과신 때문이다. 상대적, 객관적 태도가 중요한 것은 실수를 경험을 통하지 않고도 배우기 위해. 젊을 때 실수를 많이 해도 되는 예. 사회초기에 성공 사례가 많았던 사람은 시간이 갈수록 자기 과신이 많아질 가능성이 높다. 나이가 들어서도 그 방식을 쓰고 사람..

무한도전을 보다 알게 된 박진영의 vision

무한도전을 보다 알게 된 박진영의 vision JYP Vision "Leader in Entertainment" 1. 리더는 깨끗하다 2. 리더는 존경받는다 3. 리더는 연구한다 4. 리더는 변화한다 5. 리더는 듣는다 6. 리더는 솔선수범한다 7. 리더는 시스템으로 일한다 8. 리더는 꿈이 크다 /모든 음악과 컨셉은 하나의 단어로 시작한다. 그 오브제를 선택

[JTBC] 김제동의 톡투유.E11.150712

[JTBC] 김제동의 톡투유.E11.150712 / / 불안-걱정 불안은 아주 구체적인 위험이 내 앞에 없지만 다가올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감정. 불안할 때 어떤 일이 벌어질까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과정이 걱정두려움-공포 실제로 위험에 닥쳤을 때 느끼는 감정. 생명을 위협 할 만큼의 부정적인 감정이 공포이다. / 인간은 통제가능한 공포는 즐긴다. / 공포는 생명이다. 인간이라 사회적 생명을 박탈당할 때 가장 고통 스럽다. 남성은 회사 잘릴 것도 무섭지만 가정과 아내가 나를 받아들이지 않을 때 가장 무섭다. 거꾸로 절대 공포를 느끼지 않는 공간이 있다. 그 곳은 가정이다. 거기는 항상 함께 있다. 내가 배제 되지 않을 거라는 생각을 한다. 인간은 집단에 속하지 못하고 배제 되는 것이 가장 두렵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