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상의 흔적/교양프로그램 38

[JTBC] 김제동의 톡투유.E45 "청춘"

[JTBC] 김제동의 톡투유.E45.160313 주제 : 청춘 _김제동이 말하는 술의 경지 오랫 동안 술을 먹은 사람들이 술을 보고 그런 이야기를 한다. 맛은 뭔지모르겠지만 먹는다. 먹도 안 먹은듯한 사람을 주선이라고 한다. 신선처럼 먹는 것. 그 단계 보다 한단계 위는 주신의 단계. 안먹어도 먹은듯한 사람이다. 술을 안 먹었는데 늘 먹은 사람처럼 기분이 좋다. 가끔 비틀거린다. 너무 사는게 좋으니까. _송형석이 말하는 미래에 대한 걱정 미래에 대한 적정은 본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이다. 문제에는 내가 잘 되어야 하는데 내가 될 수 있을까 아닐까를 생각한다. 미래 자체가 불안할 때는 “지금 내가 하고 있는 현재 일 자체가 후회를 남길 것인가 안 남길 것인가?” 이 것만 생각하면 답이 쉽게 나..

[JTBC] 김제동의 톡투유.E44 "욕심"

[JTBC] 김제동의 톡투유.E44.160306 _김제동 과정 전체가 즐거우면 꿈인 것 같고 과정은 괴롭고 반드시 가야 한다는 결과만 생각난다면 그것은 욕심이 아닌가 생각된다. _송형석 타블렛과 최신 기기를 모으는 현상 타블렛이라는 형식이 주는 강박적인 형태. 할 수 있는 모든 일들이 기계 안에 들어있다. 완벽하고 싶은 내가 이것을 소유하면 완벽한 세계를 가지고 있다는 상징성이 있다. 그 완벽한 물건을 가져야 하는 강박증적인 양상이 생긴다. 소셜네트워크 ‘좋아요’ 와 자존감에 대해 자존감이 어릴 때 없던 상태에서 크면서 처음으로 남들에게 인정 받는 경험을 하시 시작. 다른 사람 인정을 받기 위해 한 행동들. 나중에 몇년이 지나면 지금 좋아요를 받기 위해 오버액션 하며 다닌 그것이 본인의 자존감이 되어 있..

[무한도전] 나쁜 기억 지우개편에 나온 좋은 말들

무한도전.E469.160227 @윤태호 만화가 / 일이 끝나고 나서 행복감을 느껴야 한다. 끝을 항상 즐겁게 사소한 즐거움을 만들어라. 일을 대할 때 행복해진다. 자기도 자신을 보호 받아야 한다. 나를 꾸짖는 것도 나여야 하고 나를 격려하는 것도 나여야 한다. 자기가 뭘 원하는지 어떤지 내면에 구체화된 용어들을 꽉 채웠으면 좋겠다. / "~을 하는 만화가" 직업 앞에 어떤 태도로 수행하는 내가 있어야 한다. 만화가 앞을 어떻게 수식할 것인가. 꿈이라는 걸 꼭 직업으로 정하며 그 답을 요구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어떤 직업이 아니라 어떤 사람으로 살고 싶냐고 물었으면 좋지 않을까. / 안갯속에 있으면 코앞도 모르게 된다. 걱정을 모호하게 하면 모든 것이 걱정거리가 되기 때문에 불안해진다. 내 걱정의 근본 원..

[JTBC] 김제동의 톡투유.E37 "일"

[JTBC] 김제동의 톡투유.E37.160117 주제: 일 현재의 일 누군가를 판단할 때 노동이 아닌 소비적 측면에서 규정하는 현대 사회이다. 인간은 노동의 전 과정을 지배할 때 보람을 느낀다. 우리는 보다 어려운 일을 완성했을 때 더욱 만족하게 된다. 스스로 일을 잘 해낸다고 느끼는 것이 중요하게 느껴진다. 자기 의도한 노동의 전과정을 통제할 수 있으면 그 때 대단히 큰 기쁨을 누린다. 이케아 효과 구매자들이 기성품보다 스스로 만든 물건에 더 높은 가치와 애정을 부여한다. 일에서 유능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잘하고 있다. 일이 잘되고 있다고 느낄 때 유능감이 생기고 행복해진다. 일이 목표이자 가치가 된 사회. 일이 없는 것이 실의에 빠질 수 밖에 없는 상황. 동네 미용실? 집단치료의 현장 주위의 인..

[JTBC] 김제동의 톡투유.E36.160110

[JTBC] 김제동의 톡투유.E36.160110 주제 : 변하다 변화에 대한 불안감 불안할 때는 나쁜 쪽으로 많이 생각한다. 안좋은 일이 일어날 것 같다. 내가 조절할 수 없는 일이 일어날 것 같다는 걱정이 들기 시작하면 나는 한 없이 작아보이고 벌어질 일을 굉장히 커보이니 거기에 압도될 거 같은 두려움이 든다. 중요한 것은 시간. 빨리 적응하려 하지 말고 천천히 적응하며 여유를 가져본다면 어떨까. 자기한테 여유를 주어보라 @서천석 한국의 중년 남자 남성들이 나이 먹으면서 남성 호르몬이 적게 나온다. 젊었을 때 공격성 바깥으로 향하는 것은 줄어들고 굉장히 관계지향적으로 되면서 서로 관계 좋은 관게를 맺고 그 속에서 인정 받고 사람들 사이에서 내가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생각을 50세 정도 되면서 본격적으로..

[JTBC] 김제동의 톡투유.E35.160103

[JTBC] 김제동의 톡투유.E35.160103 / 세세한 결심은 잘 안하는 편이다. 큰 그림만 그리고 세세한 혼자만의 일은 결심 대신 계획을 세운다. / 비혼자의 만혼자의 대책은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출산을 장려해야 한다는 것.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 시대의 흐름이다. 비혼자와 만혼자의 이상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 상태에서도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정책으로 만들어 달라. 비혼 : 결혼을 하지 않는 것 만혼 : 결혼을 늦게 하는 것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8.151115 "힘"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8.151115 주제 : 힘 공산당의 1인자 : 서기장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 권력의 본질 집단의 의사를 자기의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사람. / 힘내라는 말 내가 하고 있는 말에 들어주고 공감해주고 묵묵히 들어주며 공감해주는 것이 가장 큰 위로. “밥 먹었냐” 사람에게 가장 소중한 것 – “시간”. 내 시간을 선물하는 것이 이 세상에서 가장 큰 위로가 될 수 있다. 위로는 사실 말이 크게 필요가 없다.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만으로도 상대방은 위로가 되며 자존감이 올라간다. 우리는 자신의 기분과 비슷한 무엇(음악,영화,이야기)을 대할 때 심리적 안정을 느낀다. 즐거운 기분에 슬픈 음악이 감흥이 없는 것과 유사. Sympathy. 마음을 같게 해주는 것.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