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상의 흔적 142

[JTBC] 김제동의 톡투유.E35.160103

[JTBC] 김제동의 톡투유.E35.160103 / 세세한 결심은 잘 안하는 편이다. 큰 그림만 그리고 세세한 혼자만의 일은 결심 대신 계획을 세운다. / 비혼자의 만혼자의 대책은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출산을 장려해야 한다는 것. 결혼은 필수가 아닌 선택이 시대의 흐름이다. 비혼자와 만혼자의 이상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 상태에서도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정책으로 만들어 달라. 비혼 : 결혼을 하지 않는 것 만혼 : 결혼을 늦게 하는 것

EBS 기획특강 찾아가는 강연 : 이민호

출처: http://www.ebs.co.kr/tv/show?prodId=112754&lectId=10286661EBS 기획특강 찾아가는 강연 이민호 좋아해 잘해 행복해 1. 좋아하는 일 찾기 사람들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알지 못한다 보여주기 전까지 - 스티브 잡스 “시도하면 2가지 일이 생깁니다. 성공과 실패. 성공하면 더 하면 됩니다. 실패하면 똑ㄸ고해지고 뭔가 배웁니다. 나중에 더 잘하게 되죠. 시도해서 잃을 것은 없습니다.”내가 좋아하는 것. 해보면서 알아가는 것.내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좋아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하나.겪어보지 않은 것을 원할 수는 없다. 2. 잘하는 일몰입누구에게 설명할 수 없다면 아는 것은 아니다.시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집중된 시간이 중요하다.당신이 무엇인가를 잘하고 ..

감상의 흔적 2015.11.27

[다큐] KBS 사람과 사람들.E09.151121.아버지를 위한 집

KBS 사람과 사람들.E09.151121.아버지를 위한 집다시보기: http://able.kbs.co.kr/tv/2414251_43558.html?fname=sisa_ing.html&ctitle=%B9%E6%BF%B5%20%BD%C3%BB%E7%B1%B3%BE%E7 얼마남지 않은 아버지의 여생을 위해 삼형제가 집을 지어주는 이야기. 최백호의 서글한 나레이션과 장면마다 멈칫거리게 하는 대사들이 많이 와닿았다. 모두가 서로의 부모를 떠올렸을 다큐. 부디 오랫동안 많이 웃으시길.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8.151115 "힘"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8.151115 주제 : 힘 공산당의 1인자 : 서기장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 권력의 본질 집단의 의사를 자기의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사람. / 힘내라는 말 내가 하고 있는 말에 들어주고 공감해주고 묵묵히 들어주며 공감해주는 것이 가장 큰 위로. “밥 먹었냐” 사람에게 가장 소중한 것 – “시간”. 내 시간을 선물하는 것이 이 세상에서 가장 큰 위로가 될 수 있다. 위로는 사실 말이 크게 필요가 없다.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만으로도 상대방은 위로가 되며 자존감이 올라간다. 우리는 자신의 기분과 비슷한 무엇(음악,영화,이야기)을 대할 때 심리적 안정을 느낀다. 즐거운 기분에 슬픈 음악이 감흥이 없는 것과 유사. Sympathy. 마음을 같게 해주는 것. ..

[강연] 구본형-자신을 전문가로 키워나가는 5가지 원칙

[강연] 구본형–자신을 전문가로 키워나가는 5가지 원칙 1. 지식을 삶에 적용시켜라지식을 여러분에게 적용시킬 수 있어야 한다. 지식을 자신에게 적용시켜라. 그것이 내 인생에 무엇을 전해주고 싶었던 것일까 생각해야 한다. 관계를 늘 생각해라. 이게 나에게 무엇인가. 질문할 수 있는 힘이 생긴다. 질문할 수 있는 힘이 창의성이다. 대답은 창의성이 아니다. 가장 창의적인 사람은 질문 할 수 있는 사람들이다. 질문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창의성이다. 지식 자체로 놔두지 말고 여러분에게 활용하는 과정을 만들어라. 무엇을 보고 듣고 느끼게 되었다면 그것을 현실에 적용해라. 내 현실에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 속에 이야기들이 내 인생에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 2. 강점에 기초하라.강점을 집요하게 찾아라...

[강연] 김미경-꿈을 이루는 법칙@2014 2nd Asia Manafest

출처 : https://youtu.be/craz7dUT3Gw 김미경 @2014 2nd Asia ManaFest 1.일상을 사랑하자. 내 삶을 사랑하자. 남의 삶에 기웃거리지 마라. 내 일상이 가장 소중하다. 모든 사람의 꿈은 일상에서 시작한다. 일상에서 놀던 힘으로 꿈도 가지고 논다. 2.일상을 시간과 연결하자. 시간을 허투루 쓰면 자신감을 잃어버린다. 자신감은 내가 어제 해놓은 사건을 보고 했네 라고 나 한테 말해주는 것. 시간안에 내가 어떻게 포함되는가를 생각하라. 몸이 움직이지 않으면 절대 미래를 모른다. 나이가 들 수록 현명해졌다는 것은 몸을 많이 썼다는 것이다. 내 몸이 지혜롭게 해라. 3. 비교하지 말자. 나만 쳐다보자. 내 걸음을 사랑하며 가야 한다. 사람은 누구나 팔이 만드는 원하나만큼 행..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6.151101_스트레스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6.151101 주제 : 스트레스 _공감의 말 “내가 너라도 그렇겠다.” _스트레스 서천석:내가 무엇이 힘든가를 적는 것은 스트레스 해소 효과가 없다. 일기와 같이 나의 감정을 적는 것은 좋다. 스트레스는 나쁜 뜻은 아니다. 인간이기에 받을 수 밖에 없는 것. 생존을 위한 감각. 위급 상황에 빠른 대처를 할 수 있게 만드는 몸. 하지만 현대인은 몸을 움직여서 풀어낼 수 있는 상황이 없다. 오히려 위기가 닥치면 가만히 차분히 생각을 해야 한다. 몸의 흥분을 가라앉힐 방법이 없는 것이다. 몸에 남은 스트레스가 병을 만든다. 최진기: 사회적으로 본 스트레스의 의미는 납득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해소는 납득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것. 즉 통제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것. 자..

감상의 흔적 2015.11.02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5.151025

[JTBC] 김제동의 톡투유.E25.151025 나에 대하여 돈이 없어서는 살 수 없지만 돈만으로는 살 수 없다. 나.너를 열고 나가면 나. 나를 열고 나가면 너 서로 다른 내가 모이면 우리가 된다. 우리 안에 나를 간과하고 있지는 않는가. 모두를 이해하는 것은 각자의 나를 이해해야 가능한 일이다. 서천석 아이에게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묻지 말고 어떻게 살고 싶은지 물어보라. 무엇을 할지는 알기 어렵다. 미래 사회의 직업은 게속 변한다. 있는 직업이 사라질 가능성도 많지 않는가. 다만 꼭 생각해야 할 문제는 어떻게 살아야할지에 대한 것이다. 그 생각이 자라서 조금 더 성숙한 어른이 되지 않는가. 강연에서 잘 먹히는 주제. 자존감 이야기. 왜냐하면 자존감에 문제가 있다하면 자존감 높은 사람이 없다. 다 자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