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의 흔적/인터뷰와 강연

[정리] 퇴사하는 방법과 퇴사 전 챙겨둬야 하는 것.

85data 2022. 10. 21. 10:53
반응형

퇴사하는 자세

일단 거취를 분명히 하라. 고민하고 있는 과정에서는 정보를 흘리지 않는다. 마음을 정한 뒤에 미리 정보를 흘린다. 

 

퇴사 가이드와 순서

1. 방법

미리 이야기-면담. 텍스트 말고 면담. 가장 나의 위의 상사와 소통을 한다. 그다음 나의 퇴사로 영향받는 부하직원과 동료.

2. 타이밍

1달 전에 이야기 한다. 퇴사합니다 라는 면담 정확하게 한다. 이때 태도는 "저는 이제 퇴사를 결정했습니다. 남은 한 달 동안 어떻게 시간 사용하면 좋을지 알려주세요." 뉘앙스. 회사 입장에서 한번 배려해 주는 것. 

2주 때 다시 회사에 인지시키기. 2주 남았다. 1주차에는 인수인계가 들어가 줘야 하는 시기. 이때 사람이 없더라도 매뉴얼을 만들어놓아 전달할 수 있다. 그래서 퇴사자의 입장에서는 한 달 전에 퇴사 통보를 할 때부터 인수인계 자료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수월하다. 

 

인수인계의 방법

4가지 리스트

1. 업무 리스트 do list

내가 무슨 일을 했는지 정리하는 것. do list를 정리해놓는 것. 

2. 성과 리스트

어차피 경력 기술서 쓰게 될 일이 온다. 내용은 내가 이 일을 하는 동안에 성과라고 말할 수 있었떤 건 어떤 게 있었다. 그때는 어떤 성과였고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었다. 누구랑 같이 성과를 냈다. 

3. 실수 리스트 don't list

업무에서 자주 나오는 실수들. 이것은 주의해라. 오류들 개선되어야 할 점들. 보완할 점들 덧붙여 주는 것. 

4. 사람리스트

1. 빌런 리스트. 

2. 실력자

3. 조언자

 

내용들은 간단하고 핵심만. 

반응형

 

퇴사할 때 조심해야 할 말들

1. 동료에게 해서는 안 되는 말

회사에 대한 조건. 연봉에 대해 폄하하는 말들. 남아있는 입장에서는 기분이 나빠질 수 있다. 그냥 동료와 상의하지 말라. 

2. 상사에게 해서는 안 되는 말

서운 했던 일 이런 것 하지 말라. 그냥 감사했던 일만 이야기하고 남기고 가라.

3. 후배들에게 해서는 안 되는 말.

편한 사람이라고 모든 것 다 이야기하지 마라. 후배 앞에서 상사 욕을 하지 말라. 오히려 후배에게는 긍정적인 예언을 해주라. 너는 여기서 이런 것들을 극복하면 이런 도전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사람에 대해서

회사에서 만났던 인간관계는 단순히 회사에서 일하던 시기에 만난 사람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인생의 긴 관점에서 관계는 의미가 있다. 그러니 길게 보고 생각하라.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z8NcRVRlCjY 


 

번외. 퇴사 전에 생각해둬야 할 것들.

 

1. 퇴사일 정하기
퇴사하는 달은 2월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연초에 퇴사하면 성과급, 명정 수당, 상여금 등을 받을 수 있고, 퇴직금 계산 시 수당이 포함된다. 2월을 포함하면 퇴직금 계산 시 3개월의 일수가 가장 적어져 퇴직금을 더 받을 수 있다.  금요일에 퇴사하면 토, 일요일 급여와 마지막 주 주휴수당을 받을 수 없으니 꼭 월요일에 퇴사한다. 단, 12월 말이나 1월 진급 또는 연봉을 올려주는 회사는 4월에 퇴사하는 것이 유리하다. 퇴직금 정산은 직전 3개월 월급을 평균으로 낸다는 것을 알아두자. 

2. 1년 근무 후 퇴사할 때
1년만 채우고 그만둔다라고 생각했으면 딱 한 달만 더 참고 퇴사하기. 1년 1개월 일하고 나가기. 회사 입장에서는 퇴직금을 주기 싫기 때문에 1년 전에 그만둔다고 하면 당장 그만두라고 할 확률이 높다. 1년 채우고 나서 하루라도 더 일하면 퇴사할 때 2년 차에 사용할 수 있는 연차 15개 수당을 받을 수 있다.

3. 필요한 대출 카드 미리 신청하기 
새 회사에 취직하면 보통 3개월 카드 발급, 1년 정도 대출하는 것이 어렵다. 대부분의 금융 상품은 재직기간 1년이 필요하니 퇴직 전 대출을 받자. 퇴사 시 상환해야 하는 금융상품은 피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