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의 흔적/인터뷰와 강연

[정리] 가난한 사람의 뇌와 부자의 뇌의 차이점-황농문 교수

85data 2023. 7. 13. 10:43
반응형

바로 본론을 정리해 보자. 

1. 자의식의 해체가 필요하다. 성장 마인드셋을 가져라.
2. 건강하고 좋은 도파민을 일으키는 활동으로 성공경험을 많이 쌓아라. 
3. 뇌를 최대화로 활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라.
4. 몰입하는 것이 행복해지며 곧 성공과 직결된다. 몰입의 과정을 거칠수록 뇌가 활성화되고 문제해결력이 상승한다.
5. 지속적으로 난이도를 올려 몰입력을 키워라. 몰입할 수 있는 것을 찾고 지적인 도전 곱하기 노력을 해야 한다. 

 

첫번째 필요한 단계. 자의식 해체를 하라. 나와 유사한 상태에서 성공한 사람들을 보며 동기부여받고 의식을 바꿔라. 흙수저 성공한 사람의 책 20권을 보기. 나는 할 수 없어라고 스스로 비관하다가 자기처럼 같은 입장인데 성공한 사람을 보며 동기부여. 

 

능력은 성장할 수 있다는 성장 마인드셋을 가져라. 내가 노력하면 성장을 할 수 있다. 

 

성공한 이들의 공통점은 3가지. 성장, 회복력, 진정성, 끈기를 가진 사람은 성공한다.

 

세상은 확률적으로 진행한다. 사람은 본능을 따른다. 우리는 자극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자극이 도파민을 분비시킨다. 

우리는 몰입이 안되어 있으면 불안을 느끼게 설계되어 있다.  그래서 유튜브 자극적인 영상을 보며 불안을 억누른다. 

벗어나는 것은 확률적으로 낮은 상태를 구현한다. 성공한 사람들은 낮은 확률을 구현한다.

 

우리의 본능은 하향성이나 성취는 상향성을 원한다. 

 

from  존고든

사람들은 습관은 내리막인데 성취하고자 하는 것은 오르막이다. 본능적으로는 엔트로피를 증가하는 쪽. 즉 에너지와 시간을 흩뿌리는 쪽이다. 어느 하나에 집속 하지 않는다. 

 

몰입은 우리의 에너지와 시간을 집속하는 것이다. 엔트로피를 감소시키는 것. 즉 자연법칙에 어긋나는 것. 우리가 생명현상이 엔트로피를 감소시키는 현상. 우리가 죽으면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생명 현상을 유지하는 것은 엔트로피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올라가는 과정은 힘들지만 성공 경험. 

 

우리 뇌는 어떤 경험을 하던 그것을 계산을 한다. 고통이 얼마나 심했고 즐거움이 얼마나 강했는지를 편도체에서 계산을 한다. 가장 고통을 최소화하고 즐거움을 증가시키는 쪽으로 행동을 한다 = 곧 사람의 본능이자 습관. 

 

! 즉 우리의 신체와 뇌는 쉬운 쪽으로 가려는 하향이다. 오르막길을 싫어한다. 

 

하지만 힘든 과정 이후에 어떤 보람이나 성취로 인한 성공 경험을 느끼게 되면 뇌는 다르게 생각한다. 예) 등산, 힘들고 지루하게 산을 오르지만 정상에 올라가서 느끼는 성취와 감동은 올라온 과정을 재해석 한다. 산행을 하는 활동을 재미

 

성공의 경험은 좋은 도파민의 경험이다. 이런 방식을 많이 쌓아두면 우리는 오르막길을 기꺼이 올라가며 성공을 한다. 

 

1. 평소 먼저 뭐에 몰입할 것이냐를 찾아야 한다. 당장 답이 보이지 않는데 하지만 깊이 생각할 가치가 있는 것을 찾고 메모를 하라. 10개를 동시에 하는 것은 몰입이 아니다. 한번에 하나씩 하는 것이 몰입이다.

 

사람들은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고민을 한다. 고민을 하는 것이 이 문제를 해결했다고 생각한다. 걱정과 고민은 생각을 하도록 유도를 했을 뿐이다. 

 

걱정은 작업 기억을 점유하기 때문에 피로감을 느낀다. 그래서 문제해결을 원한다면 그냥 걱정을 하나도 하지 않는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기로 결정했다면 그 이후 걱정을 하지 않는다. 걱정하지 않는 방법은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 것. 이 것 내가 해결 못할 수도 있지만 내가 최선은 다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지며 접근한다.

 

우리 뇌는 기억도 하고 인출도 한다. 저장을 하는 것은 각성된 상태가 유리하다. 단기 기억을 만드는 물질이 도파민,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등이 있는데 그 물질이 각성된 상태에서 많이 나온다. 반면, 내가 아이디어를 내고 문제를 해결할때는 반대의 상태가 유리하다. 즉 저장되어 있는 나의 기억 속에서 인사이트를 인출하는 것이다. 

 

뇌의 기억에서 정보를 인출할때의 호르몬은 아세틸콜린이다. 이 것은 이완될 때 가장 많이 나온다. 부교감 신경이 우세할 때 즉 명상을 하는 것처럼 이완된 상태, 편안하게 쉬는 상태. 이때 쉬는 듯이 생각하는 것이 slow thinking이다. 아세틸콜린이 가장 많이 나오고 장기 기억을 인출을 잘하는 상태가 잠이 든 상태이다. 

 

기억의 뇌는 감정의 뇌이다. 깨어있는 상태에서는 전두엽이 감정을 억제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쉽게 기억을 꺼내오기 힘들다. 하지만 잠이 든 상태에서는 기억을 인출하는 능력이 천재가 된다. 몰입에 의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잠들때 아이디어를 활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완된 상태일 때가 좋다. 

 

! 생각해보니 나도 어떤 아이디어나 생각을 할 때는 긴장된 곳보다는 편안한 분위기, 즐거운 상태, 걱정과 불안 없이 이완된 상태일 때 좋은 생각들과 아이디어들이 나오지 않았던가. 산책 가거나 자전거 타거나 등산 좋은 길 갈 때.

 

그래서 결론. 뇌의 최고 활성화를 높이기 위해 이완된 상태를 활용하라. 

 

가장 좋은 것은 생각하다 잠드는 것. 생각하다 선잠 자는 것. 생각하다 자는 것. 그러면 자는 동안 이완된 상태의 뇌가 해결책을 생각해내온다. 깨어있을 때 아이디어를 내야 한다면 이완된 상태가 되도록 활용하는 것. 걷기나 산책, 잠시 쉬기.

 

 

당신이 시도하는 것을 멈추지 않는 한 당신은 실패한 것은 아니다. 포기하지 않고 계속 도전하면 결코 실패하지 않는 단순한 원리. 이런 식으로 학습하고 살아오면 속도가 빨라져 온다. 문제 해결력이 상승한다. 계속 도전하고 그 문제를 해결할때까지 매달리며 포기 하지 않는 것. 몰입하는 것. 그럴수록 뇌가 발달하며 어떤 문제이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해보며

이전 황농문 교수의 몰입 책을 다시 복기시켜주는 영상이다. 포인트는 성장 마인드셋은 기본을 탑제하는 전재. 그 이후 몰입을 위한 목표들을 하나씩 만들기. 뇌의 이완된 상태를 활요하여 아이디어 얻어오기. 문제 해결 그리고 난이도 올린 다른 것을 활용해 나의 문제들 해결하기.

 

오늘 당장 실천해볼 것? 22-07-13

몰입 할 것부터 찾자. 나의 목표들 부터 다시 점검 많은 목표 중에 난이도 있고 중요한 것을 하나 설정하자. 그리고 그것 하나만 당분간 몰입하자. 난느 현재 너무 많은 것들을 다루고 있지 않는가. 멀티 태스킹 줄이고 걷기와 선잠 잘 활용해보기. 

 

1. 매일 오전 몰입 문제 확인

2. 명상, 선잠, 걷기 활용. 

3. 몰입 책 다시 확인.

4. 업무할때 멀티태스킹 줄이기. 

5. 건강한 도파민 활용. 9시 이후 오프라인. 독서와 생각.

 

출처: 인사이트 코리아 (요즘 좋은 영상 많음 굳굳!)

https://youtu.be/HCkohqnryG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