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
건강에 관하여
지중해식단. 음식도 기분 좋게 먹어야 한다. 파세이아타. 식후 걷기 좋다.
인공화합물은 좋지 않다. 농산품에 농약과 비료가 많이 첨가된다. 그거 먹으면 면역이 떨어진다.
장과 뇌는 밀접한 관계. 장뇌 상관. 소화가 안되면 기분이 나쁜 것. 기분이 나쁘면 소화기 안되듯.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필수적으로 가벼운 운동을 해야 한다.
ㅡ
명상의 중요성
이타적이고 욕심이 없게 된다. 마음이 편해지게 된다. 마인드풀니스 명상. 오직 현재에 집중하는 것.
주기적으로 명상을 하라. 호흡도 깊고 길게 내뱉는 습관을 가져라.
ㅡ
현대인들은 왜 항상 피로한가?
창의적인 일을 해야하는 사람들은 늘 피로감을 가지고 있다. 뇌는 쉬지 않는다. 뇌를 쉬게 만들어줘야 피로가 풀리며 좋은 아이디어들이 나온다. DMN 아무것도 하지 않을 때 활동하는 뇌의 영역이 있다. 활동을 하는 것도 아니고 안 하는 것도 아닌 상태이다. 뇌 에너지의 80%를 사용한다. 뇌는 루즈해질 때 오히려 좋은 아이디어들이 떠오른다.
DMN이 활동할때는 창의성이 발휘된다. 휴식을 잘해야 한다. 완전히 쉬는 것도 아니고 완전히 일하는 상태도 아닌 일을 하라. 가벼운 일을 하는 것. 큰 스트레스와 생각 없이 하는 일. 정리, 청소 등등.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인식시켜두고 책상에 앉아 그것만 파고들 것이 아니라 산책을 가거나 정리를 하거나 다른 소일거리를 하는 것이 좋을 거 같다.
ㅡ
피로와 피로감은 다르다
가성피로. 실제로 피로하지는 않지만 일을 했기 때문에 피로하다고 느끼는 것. 그럴때는 가벼운 운동. 교감 신경이 흥분되어 있는 동안에는 쉴 수가 없다. 피로를 없앤다고 박카스를 마시는 것과 같은 것은 피로감을 일시적으로 없애는 것이지 피로를 없내는 것은 아니다. 쉬거나 멍을 때리거나 DMN이 활성화될 수 있는 가여누 활동들을 하는 것이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된다.
ㅡ
호흡의 중요성
한숨의 중요성. 호흡법이 중요하다. 호흡을 천천히 깊게 하는 것. 호흡을 당길때는 교감신경이 활성화되고 호흡을 내쉴 때는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된다. 평소에 길고 깊은 호흡을 하라.
ㅡ
90세 의사가 반드시 지킨다는 아침 루틴
1.10분 정도 몸을 움직인다. 맨손체조를 하거나 푸시업 스쿼트를 하여 몸을 깨운다.
2. 그 뒤에 10분 명상을 한다. 부처님 호흡을 한다. 아주 천천히 호흡을 한다. 천천히 깊게 길게 하는 호흡. 1분에 3~4번
3. 사과 + 당근 주스를 마신다.
그는 매일 오전 5시에 일어나 30분 정도 스트레칭과 명상을 하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우선 집안에서 걷기와 팔굽혀 펴기, 스쿼트, 발 마사지 등으로 몸을 푼 뒤 명상을 한다. 발을 주무르면서 하는 말이 있다. “수고했다. 고맙다. 조심할 게. 잘 부탁한다”. 신체 중 발이 제일 고생하기 때문이다. 아침 식사 메뉴는 당근 주스와 사과, 샐러드다. 오전 시간엔 책을 읽거나 글을 쓴다. 오찬 후엔 걷기와 함께 20분 정도 낮잠도 잔다.
ㅡ
당근 주스에 대하여
당근의 효능에 대하여. 본인을 90세까지 건강하게 만든 것은 당근 이라고 생각한다. 자연의학의 대표적인 병원인 스위스 벤야병원은 하루 세끼 당근 주스를 준다. 그 이유를 물으니 당근은 땅이 가지고 있는 모든 영양분을 흡수한다. 그것을 흡수하면 인간도 자연스럽게 건강해진다. 본인은 식전에 사과 하나와 당근2개를 갈아먹는다. 생야채를 만약 먹는다면 살짝 데쳐서 먹어라. 그래야 중요한 영양소인 파이토케미컬을 함께 흡수할 수 있다.
ㅡ
한국 식단의 문제
식단이 너무 서양화 되어있다. 한국 식단이 전통 밥상이 제일 건강하다.
출처 : 지식인사이드 이시형 박사
https://www.youtube.com/watch?v=HF9z3vgYWE0&pp=ygUc7KeA7Iud7J247IKs7J2065OcIOydtOyLnO2YlQ%3D%3D
출처2 : https://www.youtube.com/watch?v=qOtrPzfu2Ng
'감상의 흔적 > 인터뷰와 강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 아웃풋 법칙 - 렘군 | 성공은 타인을 위한 생산자가 되는 것. (0) | 2023.08.22 |
---|---|
[정리] 준오헤어 강윤선 대표 인터뷰 | 자청 (0) | 2023.08.10 |
[정리] 가난한 사람의 뇌와 부자의 뇌의 차이점-황농문 교수 (0) | 2023.07.13 |
[정리] 후회없는 40대를 위해 지금이라도 꼭 해야할 것 (0) | 2022.12.26 |
[정리] 퇴사하는 방법과 퇴사 전 챙겨둬야 하는 것. (0) | 2022.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