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감상의 흔적/다큐멘터리 23

명견만리.E25. 트렌드쇼 2부 플랜Z시대의 생존법

명견만리.E25.160108.트렌드쇼 2부 플랜Z시대의 생존법플랜Z의 구매법. 직구. 기존의 소비를 유지하기 위한 최후의 보루 소비 플랜Z. 떨이상품, B급 상품의 재사용.플랜 Z 시대 시간투자와 노력은 필수. 집이 뜬다. 집밥. 집에서 놀기. 집에 연관된 내용이 많아졌다. 소비의 중심이 집밖에서 집안으로 이동하고 있다. 집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비용을 줄이기 위해 셀프 인테리어가 각광받고 있다. 셀프 인테리어 전문 매장도 늘어나고 있다. ex)라이프 스타일 샵 집이 뜬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저성장 시대 소비행위는 스트레스이다. 소비는 줄었지만 저축율은 증가하고 있다. 불안함과 절박함이 기저해있다. 저성장의 시대적 상황. 일자리가 불안하기 때문에 소비가 줄고 미래를 위해 저축한..

명견만리.E24.트렌드쇼 1부 2016년 무엇이 왜 뜰것인가

명견만리.E24.160107.트렌드쇼 1부 2016년 무엇이 왜 뜰것인가 1편 무엇이 왜 뜰 것인가 경제 소비 기술 분야. 100개의 키워드 중 10개의 키워드를 선정했다. 10개의 키워드 가성비,샤오미,노브랜드,전세,금리,불확실성,미국,우주여행,비욘드 스마트폰, 스마트카. 기준금리 인상을 발표한 미국. 올해 대선이라는 큰 정치 이슈. 2016년 미국의 영향력 생각.@김난도 2016년의 메카 트랜드 "가성비" 경기 침체로 적은 돈으로 만족감을 높이는 것에 주목하게 되었다. 2016년의 소비의 자각변동이 예상된다. 가장 큰 예시는 샤오미. 기본에 충실한 시대. 사치가 아니라 가치. 과시가 아니라 합리적 소비를 생각하게 되었다. 브랜드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유통 업계도 함께 지각변동이 왔다. 불..

[다큐] KBS 사람과 사람들.E09.151121.아버지를 위한 집

KBS 사람과 사람들.E09.151121.아버지를 위한 집다시보기: http://able.kbs.co.kr/tv/2414251_43558.html?fname=sisa_ing.html&ctitle=%B9%E6%BF%B5%20%BD%C3%BB%E7%B1%B3%BE%E7 얼마남지 않은 아버지의 여생을 위해 삼형제가 집을 지어주는 이야기. 최백호의 서글한 나레이션과 장면마다 멈칫거리게 하는 대사들이 많이 와닿았다. 모두가 서로의 부모를 떠올렸을 다큐. 부디 오랫동안 많이 웃으시길.

[다큐] SBS 스페셜.E426.150823.걷기의 시크릿

SBS 스페셜.E426.150823.걷기의 시크릿 트레드 밀위에서 걸으며 업무하는 사례가 있었는데 생각보다 속도를 더 줄여야 한다. 신경 쓰지 않을 정도의 속도를 유지 바르게 걷기에 대한 설명. / 건강을 위한 걷기도 좋지만 무엇보다 심적인 안정을 취하게 하는 운동이 걷기이다. 천천히 걸으며 생각하기. 의도적으로 생활속에 녹여 생각을 정리하거나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걷는 것이 좋다. 주의할 점은 온전히 걷는 활동을 할 것. 음악을 듣거나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하는 것등은 혼자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방행한다.

[다큐] 명견만리.E08.150618.700만 베이비부머, 기로(岐路)에 서다

명견만리.E08.150618.700만 베이비부머, 기로(岐路)에 서다 1955-1963년 : 베이비붐 세대. 전쟁이 끝난 이후 폭발적인 인구 증가. 2015년부터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를 시작한다. 2020년까지 거대 인구 집단의 사회적 퇴장. 현재 우리 나라 경제 활동인구 다섯명 중 한명이 베이비붐 세대. 은퇴폭탄. 부모 부양과 자녀 양육으로 은퇴 준비를 놓친 세대. 당장 쓸 돈이 부족한 베이비붐 세대. 돈이 없다는 것은 가난하다는 것이 아니다. 총 자산 중 대부분이 부동산이다. “아파트 한 채만 남았다” 일본의 경우. 버블을 통해 반면교사. 대부분 현금 투자나 주식도 하지 않는다. 부동산을 투자 목적으로 하지 않는 단카이 세대. 오히려 여유가 있었다. 거품 경제 이후 부동산에 대한 기대를 버리고 노후를..

[다큐] 명견만리.E11.150724.일자리가 사라진다 2부 '공존의 법칙'

명견만리.E11.150724.일자리가 사라진다 2부 ‘공존의 법칙’ 미래의 먹거리 사업 IT산업? 21세기의 부는 IT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허나 일자리는 그렇게 많이 만들어내고 있지 않다. 창업팀의 경우 대부분 1인 기업의 형태가 많다. 500명 이상의 큰 기업이 되는 일은 드물다. 해결책은? 미국 뉴발란스의 예시. 제품을 자국에서 생산한다. 광고도 Made in usa를 강조하며 제품이 자국의 일자리 생성에 도움을 준다는 캠페인을 진행한다. 더불어 매출도 상승한다. 이전에는 누가 제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이제는 소비자가 지불하는 가격속에 한 사람의 노동이 있고 일자리가 달려있다는 것이 소비자들을 변화시키고 있다. 일자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 관심. 미국 사례2 사용되지..

[다큐] KBS명견만리 - 청년이 사라진다 1-2부

_명견만리.E04.150402.인구 쇼크, 청년이 사라진다 1편 일본의 길을 갈 것인가? 한반도 소멸 가상시나리오 2100년 총인구 2천만 458명, 지하철 9개 노선중 3개 폐선 2060년 잠재성장률 0.8% 2060년 국민연금 재정고갈 2033년 국가 파산 위기 2400년 부산에서는 탈출행렬이 일어난다. 도시 경기가 남아있는 도시권으로 이주한다. 대한민국의 인구정책 타이밍 많이 늦었다. 고령정책은 다들 안다. 인구정책의 핵심은 청년정책. 긴 시간이 걸리고 가시적이지 않다. 핵심은 일과 고용. 일본의 현재 상황 63만명. 일본의 니트 족 인구병 (인구가 줄어들어 사회 경제가 쇠퇴하는 현상) 인구가 줄어들면 더 좋아진다? 오히려 역차별. 안정된 자리는 줄어들고 결국 청년층에게 피해가 된다. 노노부양이 많..

[다큐] MBC 다큐스페셜 동안의 비밀, 젊음 연장법

MBC 다큐스페셜.140804.동안의 비밀 MBC 다큐스페셜.140922.마지막까지 젊고 싶은 당신 - 젊음 연장법 동안 관련된 자료 수집하다 다큐 발견. 실천법 정리. 유전적이거나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 이외에 후천적으로 노력해서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소개 되어 있다. 1. 단백질과 물을 충분히 섭취한다. 2. 짜고 기름진 음식은 피한다. 3. 유산소 근력운동을 한시간씩 주5회 한다. 나이가 더 많이 들기 전에 지속적으로 근련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는 기초 대사량을 높이기 위함.Tistory 태그: 다큐,mbc,동안,건강 _실천 정리 식사 아침사과커피 하루 두 잔피자와 빵 같은 밀가루 음식 줄이기. 단백질과 물을 충분히 섭취한다. 짜고 기름진 음식은 피한다. 브로콜리 및 새싹을 하루 한끼이상 섭취 거..

반응형